▣ 대부업체 등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, 대출과 무관한 개인정보(사진, 지인 연락처 등) 요구에 일절 응하지 말 것
① 서민들의 급전 대출이 필요한 상황을 악용하여 자극적인 광고 문구로 접근
② 단기 소액대출을 유도하여 법정 최고금리인 연 20%를 초과하는 고금리 이자를 불법 편취
③ 대출 조건으로 가족‧지인의 연락처 또는 채무자 본인의 사진을 요구
④ 대출금을 갚지 않으면 지인에게 채무 사실을 알리거나 채무자 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 등 악질적인 불법추심행위로 위협
▣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에 더 이상 속지 말 것
① 택배 배송이나 신용카드 발급, 경조사 알림, 과태료 납부 등을 미끼로 웹주소(URL)가 포함된 가짜 문자메시지(SMS)를 보내 자금을 편취
② 택배 물량이 급증하는 설 연휴 기간을 전후로 택배배송 문자 등을 사칭한 스미싱(문자메시지(SMS)+피싱(Phishing))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
③ 스미싱은 스팸문자를 통해 휴대폰에 악성앱 설치를 유도하고 설치되면 사기범은 피해자의 개인정보, 금융정보를 탈취
④ 피해자도 모르는 사이에 피해자 명의로 금융앱에 접속하여 예금을 이체하거나 대출까지 받아 대출금을 빼돌리는 사기 수법
▣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며 접근하면 일단 의심부터
① 고수익 기회를 제공하겠다며 투자를 유도하는 유사 수신, 불법금융투자 행위 등에 대해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당부
② 가상자산 관련 투자사기, 비상장 주식 관련 자금 편취, 유명인 사칭, 불법리딩방 등 사기 행태가 다양
③ SNS, 오픈채팅 등 전화번호를 식별할 수 없는 수단을 통해 연락할 경우 상대를 특정하기 어렵고, 피해구제도 쉽지 않은 편
④ 노후생활에 대한 우려가 큰 고령층은 고수익이라는 말에 쉽게 속아 피해사례가 증가
▣ 불법사금융 대응 요령
① 먼저, 정책서민금융상품 이용이 가능한지 확인하세요
② 정책서민금융상품 이용이 어려워 대부업체를 알아보는 경우, 등록대부업체인지 꼭 확인하세요
③ 등록대부업체라 하더라도 초고금리 대출, 가족‧지인 연락처 등 과도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대출상담을 즉시 중단하세요
④ 원하는 대출 승인이 가능하다며 단기 초고금리 급전대출 또는 금전을 요구하는 것은 사기입니다
⑤ 피해(우려)가 발생하는 경우, 즉시 경찰(☎112), 금감원(☎1332)에 신고
⑥ 과도한 채권추심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「채무자대리인 무료지원」 제도를 이용
▣ 보이스피싱 대응 요령
① 문자메시지 URL을 클릭하여 악성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는 보이스피싱통합신고대응센터(☎112)에 도움을 요청하세요
②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명의 도용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「개인정보노출자사고예방시스템」을 이용하세요
③ 사기범에 속아 이미 금전 계좌이체를 한 경우 신고 후 송금계좌에 대한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
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.
(금융감독원: 2025. 1. 17.(금))
다음글
비상 계엄을 이유로 금감원의 자금출처 조사를 빙자하며 자금을 편취하는 불법 리딩방 사기를 조심
2024-12-13
이전글
설 명절을 겨냥한 문자사기(스미싱) 등 사이버사기 주의
2025-01-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