▣ 소비자경보 배경
- 고금리, 경기회복 지연 등에 따라 자금이 절박한 자영업자 등 서민층을 주요 범행대상으로 하는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사기가 최근 급격히 증가
- 최근 사기수법은 상담 방식, 서류 양식 등이 실제 대출과 너무나도 유사하여 소비자가 각별한 주의 요망
▣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주요 특징
① (진짜 상담원 같은 사기범) 인터넷에 허위·과장 저금리 대출 광고를 게시하여 피해자가 연락처를 남기면 진짜 같은 상담원이 연락합니다.
② (악성 앱 설치 유도) 휴대폰에 대출 전용 앱, 보안 앱 등의 명목으로 금융회사 앱 또는 보안 앱을 가장한 악성 앱을 설치합니다.
③ (대출승인 목적 등의 입금 요구) 신용점수 향상, 거래실적 필요, 기존대출상환 등의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합니다.
▣ 소비자 대응 요령
① 인터넷 광고를 통해 대출을 신청하는 경우 등록업체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, 확인되지 않으면 함부로 연락처를 남기지 마세요.
② 신원이 불명확한 상대방이 텔레그램, 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통한 대화 유도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③ 금융회사는 대출과정에서 절대로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.
④ 금융회사는 대출 승인을 위하여 어떠한 명목으로도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.
⑤ 사기범에게 속아 금전을 이체한 경우에는 최대한 신속히 경찰(112) 또는 송금한 금융회사 콜센터로 연락하여 지급정지를 요청하십시오.
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.
(금감원: 2025. 5. 21.(수))
다음글
"금융감독원의 가상자산 관련 외부평가위원 위촉?”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칭 메일에 주의하세요
2025-05-07
이전글
이전글이 없습니다.
-